绍兴有戏 ·
绍兴古城故事汇

众里寻她千百度,蓦然回首,却在绍兴古城故事汇。

— 中文 —

蕺山的传说

蕺山的传说

点击播放音频资料

蕺山,位于绍兴古城内东北隅,盛产蕺草。《吴越春秋∙句践入臣外传》云:“越王从尝粪恶之后,遂病口臭,范蠡乃令左右皆食岑草,以乱其气。”芩草即蕺草,宋嘉泰《会稽志》引经云:“越王嗜蕺,采于此山,故名。”

相传,春秋战国时期,吴、越两国为谋求霸权发动了多次战争。公元前494年,越王句践率军攻打吴国惨遭失败,剩下的五千残兵被吴军围困于会稽山腹地。无奈之下,越王句践忍辱求和,俯首称臣,被作为人质在吴国服役三年,受尽屈辱。有一次,吴王夫差久病不愈,官中医生诊断不出究竟是何病之故。为取得吴王信任,句践口尝吴王粪便以诊疾。吴王认为这是句践对自己的忠诚之举,因而大为感动,病愈后就将句践释放回国。

越王句践自从口尝吴王夫差之秽后,得了口臭之病。为了掩饰口臭,遂采山上蕺草而食。蕺草又名鱼腥草,叶有腥味。因为句践经常采食此山的最草,因此,民间就有了越王嗜蕺的传说,而此山也被取名为蕺山。

“苦心人、天不负,卧薪尝胆,三千越甲可吞吴。”句践归国后,秣马厉兵,经过长期准备,终于打败了吴国,一雪国耻。而其忍辱负重,能屈能伸的故事至今还在激励一代又一代的读者。

— English —

The Legend of Jishan

The Legend of Jishan

Click audio playback

Jishan, located in the northeast corner of Shaoxing ancient city, is rich in cypres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of the Kingdom of Wu and Yue, "After the King Yue tasted the dung, he became ill with bad breath. Fan Li ordered everyone to eat Cen grass to breath." Song Jiatai’s "Kuaiji Zhi" quoted from the scriptures: "The King of Yue is addicted to lotus flowers, and he was collected from this mountain, hence its name."

According to legend,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u and Yue launched many wars to seek hegemony. In 494 BC, King Gou Jian of Yue led his army to attack the State of Wu and suffered a disastrous defeat. The remaining 5,000 troops were besieged by the Wu army in the center of the Kuaiji Mountain. In desperation, King Gou Jian swallowed the humiliation and begged for peace. He bowed down to his minister and was sent as a hostage to serve in the State of Wu for three years. Once, Fu Chai, the king of Wu, was ill for a long time. The doctors in the government could not diagnose the cause of his illness. In order to gain the trust of King Wu, he tasted the excrement of the King of Wu to diagnose his disease. King Wu thought this was an act of Gou Jian's loyalty to him, so he was greatly moved, and he released Gou Jian back to his country after he recovered.

King Goujian got bad breath after tasting the foulness of King Fu Cha of the State Wu. In order to conceal bad breath, he picked up the Ji grass on the mountain and ate it. Ji grass, also known as Houttuynia cordata, has a fishy smell in its leaves. Because Gou Jian often eats the most grasses in this mountain, there is a legend that the king of Yue is addicted to Ji grass, and this mountain is also named Mountain Ji.

"People who work hard, endured hardship, and try to be brave, three thousand more can swallow Wu." After Gou Jian returned to China, ready to combat; he finally defeated the State of Wu, thus avenging his national humiliation. And his story of endurance and resilience continues to inspire generations of readers.

— 한국어 공부 해요 —

즙산의 전설

즙산의 전설

클릭하여 오디오 자료 재생

즙산(蕺山)은 소흥 고성의 북동쪽 모퉁이에 위치하며 삼백초가 많이 난다. 《오월춘추·구천입신외전(吳越春秋∙句踐入臣外傳)》에는 "월왕은 똥을 맛본 후부터 입에서 구린내를 풍겼고, 범려는 주위 사람들 모두 삼백초를 먹게 하여 그 냄새를 가리게 하였다." 라고 쓰여 있다. 송가태 《회계지》에는 "월왕이 먹은 삼백초(즙채)가 이 산에서 채취되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얻게 되었다."라고 쓰여 있었다.

춘추전국시대에 오, 월 두 나라가 패권을 다투기 위해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다고 전해졌다. 기원전 494년 월왕은 군대를 이끌고 오나라를 공격하는 데 실패했고 나머지 5천 명의 패잔병은 오군에 둘러싸여 회계산 오지에 갇히게 되었다. 어쩔 수 없이 월나라 왕 구천은 모욕을 참고 화해를 청하고 머리를 숙여 신하로 칭하며 인질로 잡혀 오나라에서 3년 동안 감금당하며 온갖 굴욕을 당했다. 한번은 오왕부차가 오랫동안 병이 낫지 않아서 의사를 불렀지만 관중의 의사도 도대체 무슨 병인지 진단할 수가 없었다. 오왕의 신임을 얻기 위해 구천은 오왕의 똥을 맛보고 질병의 원인을 찾으려고 했다. 오왕은 이를 구천이 자신에 대한 충성의 표현으로 여겼고 크게 감동하여 병이 나은 후에 구천을 석방하여 귀국시켰다.

월나라 왕 구천은 오나라 왕 부차의 똥을 맛본 후부터 구취병에 걸렸다. 입 냄새를 감추기 위해 산에서 즙채(즉 삼백초)를 따서 먹었다. 즙채는 어성초라고도 하며 잎에서 비린내가 난다. 구천은 이 산의 즙채를 자주 채취하기 때문에 민간에 월나라 왕이 즙채를 사용했다는 전설이 있고 이 산을 즙산이라고 이름지었다.

'하늘은 노력하는 자를 저버리지 않고 와신상담하면 삼천의 월나라 병사는 능히 오나라를 삼킬 수 있다.' 구천은 월나라로 돌아온 후 전쟁 준비를 하며 오랜 준비를 거쳐 마침내 오나라를 물리치고 설욕하였다. 굴욕을 참아내고 굽힐 줄 아는 그의 이야기는 지금도 한 세대 또 다음의 한 세대의 사람들을 격려하는 이야기가 되었다.

— 日本語 —

蕺山的传说

蕺山的传说

クリックしてオーディオデータを再生

蕺山,位于绍兴古城内东北隅,盛产蕺草。《吴越春秋∙句践入臣外传》云:“越王从尝粪恶之后,遂病口臭,范蠡乃令左右皆食岑草,以乱其气。”宋嘉泰《会稽志》引经云:“越王嗜蕺,采于此山,故名。”

相传,春秋战国时期,吴、越两国为谋求霸权发动了多次战争。公元前494年,越王句践率军攻打吴国惨遭失败,剩下的五千残兵被吴军围困于会稽山腹地。无奈之下,越王句践忍辱求和,俯首称臣,被作为人质在吴国服役三年,受尽屈辱。有一次,吴王夫差久病不愈,官中医生诊断不出究竟是何病之故。为取得吴王信任,句践口尝吴王粪便以诊疾。吴王认为这是句践对自己的忠诚之举,因而大为感动,病愈后就将句践释放回国。

越王句践自从口尝吴王夫差之秽后,得了口臭之病。为了掩饰口臭,遂采山上蕺草而食。蕺草又名鱼腥草,叶有腥味。因为句践经常采食此山的最草,因此,民间就有了越王嗜蕺的传说,而此山也被取名为蕺山。

“苦心人、天不负,卧薪尝胆,三千越甲可吞吴。”句践归国后,秣马厉兵,经过长期准备,终于打败了吴国,一雪国耻。而其忍辱负重,能屈能伸的故事至今还在激励一代又一代的读者。